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Globular Star Cluster 47 Tuc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Globular star cluster 47 Tucanae is a jewel of the southern sky. Also known as NGC 104, it roams the halo of our Milky Way Galaxy along with some 200 other globular star clusters. The second brightest globular cluster (after Omega Centauri) as seen from planet Earth, 47 Tuc lies about 13,000 light-years away. It can be spotted with the naked-eye close on the sky to the Small Magellanic Cloud in the constellation of the Toucan. The dense cluster is made up of hundreds of thousands of stars in a volume only about 120 light-years across. Red giant stars on the outskirts of the cluster are easy to pick out as yellowish stars in this sharp telescopic portrait. Tightly packed globular cluster 47 Tuc is also home to a star with the closest known orbit around a black hole.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A 나사의 오늘의 이미지들 (2024-02-10) (0) | 2024.02.11 |
---|---|
NASA 나사의 오늘의 이미지들 (2024-02-09) (0) | 2024.02.10 |
NASA 나사의 오늘의 이미지들 (2024-02-07) (0) | 2024.02.08 |
NASA 나사의 오늘의 이미지들 (2024-02-06) (0) | 2024.02.07 |
NASA 나사의 오늘의 이미지들 (2024-02-05)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