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Saturn's Moon Helene in Color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Although its colors may be subtle, Saturn's moon Helene is an enigma in any light. The moon was imaged in unprecedented detail in 2012 as the robotic Cassini spacecraft orbiting Saturn swooped to within a single Earth diameter of the diminutive moon. Although conventional craters and hills appear, the above image also shows terrain that appears unusually smooth and streaked. Planetary astronomers are inspecting these detailed images of Helene to glean clues about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30-km across floating iceberg. Helene is also unusual because it circles Saturn just ahead of the large moon Dione, making it one of only four known Saturnian moons to occupy a gravitational well known as a stable Lagrange point.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Solar Eclipse from a Ship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Along a narrow path that mostly avoided landfall, the shadow of the New Moon raced across planet Earth's southern hemisphere on April 20 to create a rare annular-total or hybrid solar eclipse. From the Indian Ocean off the coast of western Australia, ship-borne eclipse chasers were able to witness 62 seconds of totality though while anchored near the centerline of the total eclipse track. This ship-borne image of the eclipse captures the active Sun's magnificent outer atmosphere or solar corona streaming into space. A composite of 11 exposures ranging from 1/2000 to 1/2 second, it records an extended range of brightness to follow details of the corona not quite visible to the eye during the total eclipse phase. Of course eclipses tend to come in pairs. On May 5, the next Full Moon will just miss the dark inner part of Earth's shadow in a penumbral lunar eclipse. Total Solar Eclipse of 2023 April Gallery: Notable Submissions to APOD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Runaway Star Alpha Camelopardalis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Like a ship plowing through cosmic seas, runaway star Alpha Camelopardalis has produced this graceful arcing bow wave or bow shock. The massive supergiant star moves at over 60 kilometers per second through space, compressing the interstellar material in its path. At the center of this nearly 6 degree wide view, Alpha Cam is about 25-30 times as massive as the Sun, 5 times hotter (30,000 kelvins), and over 500,000 times brighter. About 4,000 light-years away in the long-necked constellation Camelopardalis, the star also produces a strong stellar wind. Alpha Cam's bow shock stands off about 10 light-years from the star itself. What set this star in motion? Astronomers have long thought that Alpha Cam was flung out of a nearby cluster of young hot stars due to gravitational interactions with other cluster members or perhaps by the supernova explosion of a massive companion star.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김정화 연예인이 운영하는 알리스타 케냐커피 카페 체인점이 화곡역에 최근 오픈했다는 소식을 듣고 방문해봤어요.
이곳은 서울에서 유명한 브런치카페 맛집으로 소문이 났다고 하는데요
리스타 케냐커피 강서화곡점은 매일 08:30 - 21:00까지 영업하고 있으며, 화곡역 6번 출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요. 가로공원 나누리병원 버스정류장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니 찾아가기 쉬울 거예요. 전화번호는 02-2602-2423이에요.
화곡에 위치한 알리스타 케냐커피 매장의 입구입니다.
새로 오픈한 카페라서 아직 화환도 걸려 있었습니다. 매장 바깥쪽에는 테라스 좌석이 마련되어 있어, 날씨 좋은 날에는 여유롭게 커피 한 잔이나 브런치를 즐기기에도 좋을 것 같았습니다.
매장 내부는 넓으면서도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테이블이나 의자 등 인테리어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단조로움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또한 테이블 간 간격도 적당히 띄어져 있어서 좋았습니다.
또 다른 쪽에는 이렇게 긴 창가 바테이블이 놓여져 있어 창밖을 바라보며 편안하게 앉을 수 있어 넓은 공간감도 느껴졌어요 우리도 자리를 잡고 앞쪽 카운터로 가서 주문을 해보았는데요
케냐 커피에 맞게 얼룩말무늬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알리스타 케냐 커피는 이름 그대로 케냐 커피 전문점으로 화곡에서 맛볼 수 없는 진하고 깊은 커피를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아프리카 대표 커피 생산국인 케냐의 저산소 고산지대에서 생산되는 케냐 커피는 고품질 아프리카 커피를 대표합니다! 메뉴판에도 얼룩말이 그려져 있어 알리스타를 대표하는 이미지 같아요
메뉴를 자세히 보면 커피와 라떼, 블렌드, 티와 에이드, 주스 등 다양한 음료가 있고 서울 브런치카페 맛집으로 유명한 치아바타 불고기 샌드위치와 텍사스 바베큐 버거, 그리고 디저트로도 좋은 플레인, 티라미수 크로플이 있었습니다.
메뉴판 이외에도 옆의 쇼케이스에는 케이크나 음료 등 다양한 선택지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모카포르테, 뉴욕치즈케이크, 레드벨벳케이크, 당근케이크, 단호박케이크, 티라미수롤케이크 등 총 6종류의 다양한 케이크와 어린이들이 좋아할 뽀로로쥬스도 함께 제공됩니다.
또한, 케냐커피 전문점이니 만큼 케냐AA콜드부르 병도 구매 가능합니다. 또한, 아보카도 요거트 스무디 신메뉴도 한정 판매 중이니 아보카도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직원에게 문의하여 주문하시면 됩니다. 카운터에는 매장 이름인 알리스타의 뜻도 정리되어 있습니다.
알리스타는 숭고한 별이라는 뜻으로 아프리카 케냐 아이들을 돕고자 하는 좋은 취지도 함께 담겨 있어 마음이 따뜻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커피 구매 한 잔이 케냐의 배고픈 아이들을 위해 빈곤을 줄이는 데 쓰인다니 작은 선행을 할 수 있어 더욱 좋습니다. 또한, 알리스타의 대표인 연기자 김정화씨의 사인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케냐AA는 200g 원두와 드립백으로도 별도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쪽에는 무료 서비스 바가 마련되어 있어서 냅킨, 물, 빨대, 설탕 등이 필요하시면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아메리카노 핫/아이스가 나왔는데요. 양도 꽤 많이 나옵니다. 뭔가 핫이 더 진한 향과 맛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서 핫 아메리카노를 먼저 마셔봤습니다.
약간의 산미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묵직하고 달콤 쌉싸름하여 완전히 조화로운 느낌이었습니다. 산미가 강하지 않으면서도 너무 가볍지도 않은 커피를 선호하는데 완전 만족스러워서 바로 아이스 아메리카노도 마셨습니다. 알리스타 화곡점은 완전한 커피 맛집입니다.
이전에 카운터에서 본 것과 동일한 카페이름과 취지를 설명해주시며 원두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해주셨기에 카운터에서 못 본 분들도 음료 또는 브런치를 즐기며 참고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커피를 즐기는 동안 즉시 제공되는 알리스타 세트입니다.
정말로 풍성하지 않나요? 양도 포기할 수 없는 저에게 완전히 만족스러운 조합으로 서울의 브런치 카페 맛집에 어울리는 시각적 요소가 있습니다. 나무 그릇과 트레이에 담겨져 나오며 야채도 많이 들어가서 더 건강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텍사스 바베큐 버거는 치즈가 올라가 있어서 뭔가 먼저 먹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손이 가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샐러드는 먹어야겠죠!!
달콤한 단호박 샐러드는 따로 설명할 필요도 없이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있습니다. 발사믹 드레싱이 뿌려진 샐러드도 상큼한 맛이 있었는데 전체적으로 알리스타 화곡점의 야채들이 모두 신선해서 너무 만족했어요.
양손으로 꽉 잡고 물어봤어요. 저도 아프리카에서 온 한 마리의 사자처럼 보이네요. ㅎㅎ 하지만, 진짜 맛있을 것 같다는 것은 제 착각이었어요! 패티 형태의 고기가 아니라서 그런지 햄버거의 인공적인 맛도 줄어들고 치즈와 혼합되어 더 고소했어요.
어떤 것을 자르면 궁금해지기도 하고 남자친구와 함께 먹으려고 반을 나누어 봤어요. 처음부터 반을 나누어 둘 걸 그랬나봐요. 텍사스 바베큐 버거처럼 쏟아지는 시각적 효과 그것을 보면 눈물이 흐르지 않을 수 없겠죠. 서둘러 먹고 이번에는 치아바타 불고기 샌드위치를 시도해 보았어요.
치아바타 불고기 샌드위치는 보기에도 신선한 야채가 가득한 것 같아요. 버거와 샌드위치를 완벽하게 조화롭게 조합한 것 같아요.
서둘러 먹어치우다 이번에는 치아바타 불고기 샌드위치를 소개합니다. 치아바타 불고기 샌드위치는 보기만 해도 신선한 야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버거와 샌드위치의 완벽한 조화를 느낄 수 있는 순간입니다!
그러면 더 쉽게 먹기 위해 치아바타 불고기 샌드위치의 포장지를 벗겨봅시다. 포장지를 벗기니 치아바타 빵의 촉촉하면서도 바삭한 표면이 나타납니다. 한 입 베어보면 쫄깃한 치아바타 빵과 신선한 야채, 토마토, 그리고 주재료인 달콤짭쪼롬한 불고기 맛이 어우러져 맛있게 느껴집니다.
또한 양도 풍성하여 브런치를 즐기는 손님들에게 완벽한 선택입니다. 양이 적은 곳에서는 브런치를 먹고 결국 2차로 가게 되는데, 여기서는 샌드위치와 아메리카노로 들끓는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건강하고 든든한 서울 브런치카페 맛집을 찾으시는 분들께 알리스타케냐커피 강서화곡점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The Tarantula Nebula from SuperBIT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The Tarantula Nebula, also known as 30 Doradus, is more than a thousand light-years in diameter, a giant star forming region within nearby satellite galaxy the Large Magellanic Cloud. About 160 thousand light-years away, it's the largest, most violent star forming region known in the whole Local Group of galaxies. The cosmic arachnid is near the center of this spectacular image taken during the flight of SuperBIT (Super Pressure Balloon Imaging Telescope), NASA's balloon-borne 0.5 meter telescope now floating near the edge of space. Within the well-studied Tarantula (NGC 2070), intense radiation, stellar winds and supernova shocks from the central young cluster of massive stars, cataloged as R136, energize the nebular glow and shape the spidery filaments. Around the Tarantula are other star forming regions with young star clusters, filaments, and blown-out bubble-shaped clouds. SuperBIT's wide field of view spans over 2 degrees or 4 full moons in the southern constellation Dorado.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The Moon through the Arc de Triomphe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Was this a lucky shot? Although many amazing photographs are taken by someone who just happened to be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this image took skill and careful planning. First was the angular scale: if you shoot too close to the famous Arc de Triomphe in Paris, France, the full moon will appear too small. Conversely, if you shoot from too far away, the moon will appear too large and not fit inside the Arc. Second is timing: the Moon only appears centered inside the Arc for small periods of time -- from this distance less than a minute. Other planned features include lighting, relative brightness, height, capturing a good foreground, and digital processing. And yes, there is some luck involved -- for example, the sky must be clear. This time, the planning was successful, bringing two of humanity's most famous icons photographically together for all to enjoy. Today's adventure link: Click "Paris" (above)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Northern Lights over Southern Europe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Did you see an aurora over the past two nights? Many people who don't live in Earth's far north did. Reports of aurora came in not only from northern locales in the USA as Alaska, but as far south as Texas and Arizona. A huge auroral oval extended over Europe and Asia, too. Pictured, an impressively red aurora was captured last night near the town of Cáceres in central Spain. Auroras were also reported in parts of southern Spain. The auroras resulted from a strong Coronal Mass Event (CME) that occurred on the Sun a few days ago. Particles from the CME crossed the inner Solar System before colliding with the Earth's magnetosphere. From there, electrons and protons spiraled down the Earth's northern magnetic field lines and collided with oxygen and nitrogen in Earth's atmosphere, causing picturesque auroral glows. Our unusually active Sun may provide future opportunities to see the northern lights in southern skies.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The Medulla Nebula Supernova Remnant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What powers this unusual nebula? CTB-1 is the expanding gas shell that was left when a massive star toward the constellation of Cassiopeia exploded about 10,000 years ago. The star likely detonated when it ran out of elements near its core that could create stabilizing pressure with nuclear fusion. The resulting supernova remnant, nicknamed the Medulla Nebula for its brain-like shape, still glows in visible light by the heat generated by its collision with confining interstellar gas. Why the nebula also glows in X-ray light, though, remains a mystery. One hypothesis holds that an energetic pulsar was co-created that powers the nebula with a fast outwardly moving wind. Following this lead, a pulsar has recently been found in radio waves that appears to have been expelled by the supernova explosion at over 1000 kilometers per second. Although the Medulla Nebula appears as large as a full moon, it is so faint that it took many hours of exposure with a telescope in Seven Persons, Alberta, Canada to create the featured image.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A Waterspout in Florida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What's happening over the water? Pictured here is one of the better images yet recorded of a waterspout, a type of tornado that occurs over water. Waterspouts are spinning columns of rising moist air that typically form over warm water. Waterspouts can be as dangerous as tornadoes and can feature wind speeds over 200 kilometers per hour. Some waterspouts form away from thunderstorms and even during relatively fair weather. Waterspouts may be relatively transparent and initially visible only by an unusual pattern they create on the water. The featured image was taken in 2013 July near Tampa Bay, Florida. The Atlantic Ocean off the coast of Florida is arguably the most active area in the world for waterspouts, with hundreds forming each year. Your Sky Surprise: What picture did APOD feature on your birthday? (post 1995)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NGC 1333: Stellar Nursery in Perseus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In visible light NGC 1333 is seen as a reflection nebula, dominated by bluish hues characteristic of starlight reflected by interstellar dust. A mere 1,000 light-years distant toward the heroic constellation Perseus, it lies at the edge of a large, star-forming molecular cloud. This Hubble Space Telescope close-up frames a region just over 1 light-year wide at the estimated distance of NGC 1333. It shows details of the dusty region along with telltale hints of contrasty red emission from Herbig-Haro objects, jets and shocked glowing gas emanating from recently formed stars. In fact, NGC 1333 contains hundreds of stars less than a million years old, most still hidden from optical telescopes by the pervasive stardust. The chaotic environment may be similar to one in which our own Sun formed over 4.5 billion years ago. Hubble's stunning image of the stellar nursery was released to celebrate the 33rd anniversary of the space telescope's launch. Watch: Planet Earth's annual Lyrid Meteor Shower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