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Milky Way over a Turquoise Wonderland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What glows there? The answer depends: sea or sky? In the sea, the unusual blue glow is bioluminescence. Specifically, the glimmer arises from Noctiluca scintillans, single-celled plankton stimulated by the lapping waves. The plankton use their glow to startle and illuminate predators. This mid-February display on an island in the Maldives was so intense that the astrophotographer described it as a turquoise wonderland. In the sky, by contrast, are the more familiar glows of stars and nebulas. The white band rising from the artificially-illuminated green plants is created by billions of stars in the central disk of our Milky Way Galaxy. Also visible in the sky is the star cluster Omega Centauri, toward the left, and the famous Southern Cross asterism in the center. Red-glowing nebulas include the bright Carina Nebula, just right of center, and the expansive Gum Nebula on the upper right.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Ida and Dactyl: Asteroid and Moon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This asteroid has a moon. The robot spacecraft Galileo on route to Jupiter in 1993 encountered and photographed two asteroids during its long interplanetary voyage. The second minor planet it photographed, 243 Ida, was unexpectedly discovered to have a moon. The tiny moon, Dactyl, is only about 1.6 kilometers across and seen as a small dot on the right of the sharpened featured image. In contrast, the potato-shaped Ida is much larger, measuring about 60 kilometers long and 25 km wide. Dactyl is the first moon of an asteroid ever discovered -- now many asteroids are known to have moons. The names Ida and Dactyl are from Greek mythology.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Crescent Neptune and Triton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Gliding through the outer Solar System, in 1989 the Voyager 2 spacecraft looked toward the Sun to find this view of most distant planet Neptune and its moon Triton together in a crescent phase. The elegant image of ice-giant planet and largest moon was taken from behind just after Voyager's closest approach. It could not have been taken from Earth because the most distant planet never shows a crescent phase to sunward eyes. Heading for the heliopause and beyond, the spacecraft's parting vantage point also robs Neptune of its familiar blue hue.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Virgo Cluster Galaxies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Galaxies of the Virgo Cluster are scattered across this nearly 4 degree wide telescopic field of view. About 50 million light-years distant, the Virgo Cluster is the closest large galaxy cluster to our own local galaxy group. Prominent here are Virgo's bright elliptical galaxies Messier catalog, M87 at bottom center, and M84 and M86 (top to bottom) near top left. M84 and M86 are recognized as part of Markarian's Chain, a visually striking line-up of galaxies on the left side of this frame. Near the middle of the chain lies an intriguing interacting pair of galaxies, NGC 4438 and NGC 4435, known to some as Markarian's Eyes. Of course giant elliptical galaxy M87 dominates the Virgo cluster. It's the home of a super massive black hole, the first black hole ever imaged by planet Earth's Event Horizon Telescope.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Cat's Eye Wide and Deep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The Cat's Eye Nebula (NGC 6543) is one of the best known planetary nebulae in the sky. Its more familiar outlines are seen in the brighter central region of the nebula in this impressive wide-angle view. But this wide and deep image combining data from two telescopes also reveals its extremely faint outer halo. At an estimated distance of 3,000 light-years, the faint outer halo is over 5 light-years across. Planetary nebulae have long been appreciated as a final phase in the life of a sun-like star. More recently, some planetary nebulae are found to have halos like this one, likely formed of material shrugged off during earlier episodes in the star's evolution. While the planetary nebula phase is thought to last for around 10,000 years, astronomers estimate the age of the outer filamentary portions of this halo to be 50,000 to 90,000 years. Visible on the right, some 50 million light-years beyond the watchful planetary nebula, lies spiral galaxy NGC 6552.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Observatory Aligned with Moon Occulting Jupiter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Sometimes we witness the Moon moving directly in front of -- called occulting -- one of the planets in our Solar System. Earlier this month that planet was Jupiter. Captured here was the moment when Jupiter re-appeared from behind the surface of our Moon. The Moon was in its third quarter, two days before the dark New Moon. Now, our Moon is continuously half lit by the Sun, but when in its third quarter, relatively little of that half can be seen from the Earth. Pictured, the Moon itself was aligned behind the famous Lick Observatory in California, USA, on the summit of Mount Hamilton. Coincidentally, Lick enabled the discovery of a moon of Jupiter: Amalthea, the last visually detected moon of Jupiter after Galileo's observations. Gallery: Moon Occults Jupiter in 2023 May: Notable Submissions to APOD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Jupiter's Swirls from Juno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Big storms are different on Jupiter. On Earth, huge hurricanes and colossal cyclones are centered on regions of low pressure, but on Jupiter, it is the high-pressure, anti-cyclone storms that are the largest. On Earth, large storms can last weeks, but on Jupiter they can last years. On Earth, large storms can be as large as a country, but on Jupiter, large storms can be as large as planet Earth. Both types of storms are known to exhibit lightning. The featured image of Jupiter's clouds was composed from images and data captured by the robotic Juno spacecraft as it swooped close to the massive planet in August 2020.  A swirling white oval is visible nearby, while numerous smaller cloud swirls extend into the distance.  On Jupiter, light-colored clouds are usually higher up than dark clouds. Despite their differences, studying storm clouds on distant Jupiter provides insights into storms and other weather patterns on familiar Earth.  Surf the Universe: Random APOD Generator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먼저 발목에서 시작하여 발바닥에 이르는 부위를 가리키는 것이 복숭아뼈이며,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된 뼈를 의미합니다. 의학적 용어로는 복사뼈라 불리며, 안쪽 복사뼈와 바깥쪽 복사뼈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숭아뼈 부음 원인

골절

외상이나 넘어짐으로 인해 충격을 받으면 굳어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부어오름,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멍이 매우 심해지고 고통이 심해진다면 골절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골절이 의심된다면 일상생활이 많이 어려워지므로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합니다.

 

활액낭염

불편한 신발을 자주 신으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거나, 감염이나 부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활액낭염은 복숭아뼈 통증과 붓기, 피부 화끈거림, 관절 부위가 빳빳해지는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특히 경사진 비탈길을 오르거나 달릴 때 통증이 더 심해지며, 세균성 감염으로 인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보다 정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발목 불안정성

발목 바깥쪽에 있는 세 개의 인대 중 일부 또는 전체가 파열하여 염좌가 생긴 후 제대로 치료되지 않으면 인대가 약해지고 상태가 매우 헐거워지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발목 염좌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쉽게 복숭아뼈를 부을 수 있으며 몸의 균형을 잡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통풍

보통 고관절염은 엄지발가락의 부어오름으로 시작하지만 발목과 손목에서도 통증과 함께 붉게 부어오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금만 부딪혀도 아플 뿐만 아니라 체온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시일 내에 치료를 받는 것입니다.

 

발목점액낭염

발목에 물집이 생길 때 발목점액낭염이라고도 합니다. 발목점액낭염은 발목에 점액이 존재하여 관절 운동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발목을 많이 사용하거나 발목 마찰이 높아지면 점액낭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급하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주사로 체액을 제거하거나 항생제와 같은 약물을 사용해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관절염

관절염으로 인해 활막에 염증이 생기면, 대개 5~6주 이상 동안 붓기와 통증이 계속됩니다. 특히 발목 앞쪽에서 안쪽 복사뼈를 시작으로 고통이 나타나며, 발목을 구부릴 때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관절염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진행되는 만성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다른 관절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빠른 진단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절염이 의심될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도 고려해야 합니다.

장족무지굴근 손상

종아리에서 복숭아뼈 아래를 통해 이어지는 힘줄은 엄지발가락을 조작하는 데 사용되며, 걷을 때 체중을 지면에 고르게 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해당 부위가 손상이 되면, 가벼운 조깅이나 걷기 운동 시 안쪽 복사뼈에서 통증과 붓기가 생겨 발바닥과 발가락에서 욱신거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치료법

냉찜질 및 온찜질

 

통증이 있을 때, 해당 부위를 차가운 얼음이 담긴 물에 담그고 10~15분 정도 얼물 찜질을 하거나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후, 따뜻한 수건이나 찜질팩을 사용하여 붓기나 염증이 있는 부위의 혈액 순환과 회복을 촉진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안한 이동을 위해서는 부담스러운 등산화나 불편한 하이힐, 사이즈가 맞지 않는 신발을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발바닥이 부드러운 운동화를 선택하고 가벼운 제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호대 착용

​ 한 번 염좌가 발생하면 해당 부위에 계속해서 생기기 쉬우므로 발목 보호대 및 테피핑 사용으로 나에게 가하는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복숭아뼈 부음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야외 활동을 많이 하다 보면 자주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처음에는 가볍게 보일 수 있지만 만성적인 문제나 2차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더 유익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Supernova Discovered in Nearby Spiral Galaxy M101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A nearby star has exploded and humanity's telescopes are turning to monitor it. The supernova, dubbed SN 2023ixf, was discovered by Japanese astronomer Koichi Itagaki three days ago and subsequently located on automated images from the Zwicky Transient Facility two days earlier. SN 2023ixf occurred in the photogenic Pinwheel Galaxy M101, which, being only about 21 million light years away, makes it the closest supernova seen in the past five years, the second closest in the past 10 years, and the second supernova found in M101 in the past 15 years. Rapid follow up observations already indicate that SN 2023ixf is a Type II supernova, an explosion that occurs after a massive star runs out of nuclear fuel and collapses. The featured image shows home spiral galaxy two days ago with the supernova highlighted, while the roll-over image shows the same galaxy a month before. SN 2023ixf will likely brighten and remain visible to telescopes for months. Studying such a close and young Type II supernova may yield new clues about massive stars and how they explode.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잡학다식 입니다. 오늘은 과연 나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주의 형상을 표현해 줄까요?
우선 이미지부터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진의 이름은 Tardigrade in Moss 인데요 우선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설명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Is this an alien? Probably not, but of all the animals on Earth, the tardigrade might be the best candidate. That's because tardigrades are known to be able to go for decades without food or water, to survive temperatures from near absolute zero to well above the boiling point of water, to survive pressures from near zero to well above that on ocean floors, and to survive direct exposure to dangerous radiations. The far-ranging survivability of these extremophiles was tested in 2011 outside an orbiting space shuttle. Tardigrades are so durable partly because they can repair their own DNA and reduce their body water content to a few percent. Some of these miniature water-bears almost became extraterrestrials in 2011 when they were launched toward to the Martian moon Phobos, and again in 2021 when they were launched toward Earth's own moon, but the former launch failed, and the latter landing crashed. Tardigrades are more common than humans across most of the Earth. Pictured here in a color-enhanced electron micrograph, a millimeter-long tardigrade crawls on moss. Your Sky Surprise: What picture did APOD feature on your birthday? (post 1995)

 

이번에도 광활한 우주 앞에 인간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다시 한번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도 더 좋은 사진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행목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